본문 바로가기

주식하자4

PSR 이란? 주가매출비율로 플랫폼 기업의 가치 알아보기(feat. 켄 피셔) PSR(주가매출비율)은 투자전문가이자 자산관리자인 '켄 피셔'가 주식투자를 할 때 고려한다는 핵심 지표입니다.실제로 켄 피셔는 PSR이 다른 측정 기준보다 기업가치를 더 잘 보여주는 지표라고 말합니다.지금부터 수익(PER)이나 자산(PBR)으로는 평가할 수 없는 플랫폼 기업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는 PS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의 내용1. PSR이란?2. PSR의 해석방법3. PSR을 만든 의 원칙!4. PSR로 분석하는 플랫폼 기업  1. PSR이란? PSR은 매출액에 비해 주가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즉, 기업의 시가총액을 연 매출액으로 나누어서 매출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합니다. PSR = 시가총액 ÷ 매출액 = 주가 ÷ 1주당 매출액 만약 연 매출액이.. 2024. 10. 9.
ROE란? 자기자본이익률이 높은 기업 고르기, 평가기준 ROE(자기자본이익률)는 투자왕 '워런 버핏'이 주식투자를 할 때 고려한다는 핵심 지표입니다.실제로 워런 버핏은 장기간동안 ROE가 20% 이상인 기업을 우선으로 투자해 왔다고 하죠.지금부터 자본 잘 굴리는 기업, ROE가 높은 기업 고르기를 해보겠습니다!  이 글의 내용1. ROE(자기자본이익률)이란?2. 계산 방법3. 평가 기준4. ROE를 볼 수 있는 곳5. 애플의 시가총액이 삼성전자보다 훨씬 큰 이유6. ROE를 높이려면?7. 한계점과 주의사항1. ROE(자기자본이익률)이란? ROE는 주식 투자를 할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자기자본을 가지고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왜냐! 같은 자본으로 돈을 더 많이 번 기업이 좋은 기업이니까요. 즉, RO.. 2024. 9. 20.
PBR이란? 주가순자산비율로 진짜 부자 기업 찾기! 가치투자의 아버지로 불리는 벤저민 그레이엄은 "주식은 적정 수준보다 낮은 가격에 사서, 적정 수준보다 높은 가격에 팔아야 한다"는 격언을 남겼습니다.그가 저평가주를 찾을 때 반드시 살펴봐야 한다고 꼽은 지표 중 하나가 PBR(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지금부터 PBR을 통해 진짜 부자 기업을 찾아보겠습니다!   이 글의 내용1. PBR(주가순자산비율)이란?2. 계산 방법3. PBR의 평가 기준4. 실전 투자에서 PBR 활용하기5. 주의해야 할 산업분야1. PBR(주가순자산비율)이란? PBR은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 선에 거래되는지 살펴보는 지표입니다. 여기서 순자산이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입니다. 이는 주식의 시장 가치와 그 회사의 순자산을 비교하여 주식이 저평가되었는지 또는 고평가 되었는지를 판.. 2024. 9. 18.
PER이란? 주가수익비율로 저평가 주식 고르기, 기준과 평가방법 '가성비'라는 말 아시죠? 바로 PER(주가수익비율)는 가성비 높은 종목을 고르는 기준입니다.주식시장에서는 주식 투자를 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지표로 PER를 많이 언급합니다. 지금부터 PER로 저평가 주식 고르기를 해보겠습니다!  이 글의 내용1. PER(주가수익비율)이란?2. 계산 방법3. PER 지표 보러 가기4. 기준과 평가하는 방법5. PER를 통해 기업 비교해 보기6. 한계와 주의사항1. PER(주가수익비율)이란? 싼 지 비싼지 이야기하려면 반드시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바로 '적정 가치'겠죠. 예를 들어, 500원짜리를 100원에 팔고 있으면 싼 거고, 100원짜리를 500원에 팔고 있다면 비싼 겁니다. 그래서 적정 가치가 중요합니다. 즉, 우리가 사려는 주식이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 2024. 9. 15.